이차전지 제조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소재 중 하나가 리튬입니다. 리튬은 양극재 생산에서 제일 중요한 소재 중 하나이며, 기호는 "Li", 원자번호는 "3"입니다.
리튬 국가별 생산량과 국유화
전기차 시장의 성장으로 리튬이 핵심 원자재로 부각되며, 리튬 생산량이 많은 나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백색 석유"라고 불릴만큼 몸값이 올라버린 리튬인 관계로 위의 국가들 입장에서는 중요한 자원입니다. 남미 국가들 중 칠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멕시코등은 리튬 국유화를 진행 중이거나 완료하였습니다.
칠레의 경우 내달 국영 리튬 기업을 설립한다고 합니다. 칠레의 경우 기술력으로 판단할 경우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리튬 보유량이 전 세계 1위라고 합니다. 아르헨티나도 정부에서 리튬은 전략 광물로 지정 후 민간 기업들의 채굴권은 정지한 상태. 볼리비아는 이보다 더 앞서 2008년에 리튬 국유화를 마친 상태입니다.
리튬은 어떻게 생산될까?
리튬의 생산방식은 전통적인 채굴 방식에 의한 경암형(hard rock)생산 방식과 지하 염수나 염호에서 채굴하는 염수형(brine) 2가지가 있습니다.
세계 리튬의 87%는 염수형으로 매장되어 있으며, 주로 남미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중국과 호주 등지에서는 주로 경암형 리튬 광산이 발견됩니다.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
광산과 염호에서 채굴된 리튬은 가공을 거칩니다. 쉽게 말해서 광산에서 채굴된 리튬은 탄산리튬, 수산화리튬으로 생산가능하며, 염전에서 채굴된 리튬은 탄산리튬으로만 생산 가능합니다.
리튬의 사용처
리튬 건전지를 일상에서 많이 사용해보셨을 겁니다.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1차 전지인 아래와 같인 코인 리튬 건전지요.
2차 전지로써 리튬은 스마트폰의 경우 30g정도 소비되지만, 전기 자동차의 경우 30kg에서 최대 60kg까지(주행 거리 400km 기준) 소비됩니다. 전기차 기술이 발달될수록 고용량 배터리가 필요한데, 소비되는 양은 더욱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때는 수산화리튬의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리튬의 시세
전기차 산업의 성장으로 리튬 가격은 지난 2~3년간 폭등했습니다. 2022년 11월 정점을 찍은 후 현재 급속 하락기 또는 가격 조정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리튬의 가격은 중국 위안화로 거래됩니다. 왜냐하면 중국이 리튬 시장을 장악했기 때문입니다.
리튬 공급 과잉 우려
현재 리튬 가격의 조정에는 공급 과잉 우려가 뒷배경입니다.
중국은 최대 전기차 수요처인데, 중국의 전기차 수요는 둔해진 반면 채굴량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중국에서도 불법 리튬 채굴 단속을 통해서 공급량 조절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희귀하지 않은듯한 리튬.. 리튬 매장지 곳곳에서 발견
리튬이 그리 희귀하지 않은 자원인 것 같습니다.
인도에서 리튬 광산이 발견되었으며, 매장량으로 치자면 세계 2위라고 합니다.
하지만, 리튬 매장량≠생산량입니다. 매장은 되어 있지만, 이것을 생산하는 기술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인도에서 발견된 리튬 매장지가 파키스탄과 멀지 않은 곳인 관계로 안정적으로 채굴 가능한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국내에도 리튬 울진 등 리튬 광산 6곳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있을 정도면 흔한 원자재인 것 같습니다만, 생산이 문제입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KFNJ1MTW
글로벌 리튬 기업
기업명 | 국가 | 생산점유율 | 비고 |
알버말(Albermarle/ ALB) | 미국 | 20% | -자동차 배터리용 최대 리튬 생산 기업 |
SQM (Sociedad Quimica y Minera de) |
칠레 | 13% | -칠레 염호에서 리튬생산하는 자국 기업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 생산 캐파를 2배 이상 확대 추진 |
천제리튬 (Tianqi Lithium) |
중국 | 9% | -중국 유일의 스포듀민 100% 자급 생산 기업 |
Allkem | 호주 | 6% | -호주와 아르헨티나에서 리튬광산/ 염호 운영 |
강봉리튬 (Ganfeng Lithium) |
중국 | 5% | 수산화리튬 생산에 주력. 중국 천제리튬과 주도권 전쟁 |
필바라 미네랄 (Pilbara Minerals) |
호주 | 4% | -호주 리튬 광산 채굴 기업 -포스코와 합작투자로 국내에 수산화리튬 제련 시설 설립 |
자료 : 한국 무역 협회_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망 분석: 리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트코 연회비 인상 할까? 코스트코 연회비 인상 주기와 국가별 연회비 (6) | 2023.03.03 |
---|---|
경제 문해자들이 한다는 자사주 매입. 자사주매입TOP10기업 자사주소각정확한뜻 (4) | 2023.03.02 |
튀르키예로 공식 국가명을 변경한 터키. 터키로 부르면 실례일까? (6) | 2023.02.21 |
찰리 멍거: 내가 저지른 실수 중 하나 (9) | 2023.02.17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AI용 반도체 HBM D램 반도체 생태계 (3)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