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AI용 반도체 HBM D램 반도체 생태계

잇베스터 2023. 2. 14. 22:55
반응형

챗 GPT 열풍이 결국  반도체 주식의 수혜로 귀결됩니다.

AI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남다른 반도체라며..

IP 반도체니 디자인 하우스니 챗 GPT의 수혜를 받을 수 있을 법한 반도체 기업 유형을 찾기 위해서 

투자자들은 분주하네요.

 

뭐니 뭐니 해도 반도체 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개발에 유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인 HBM을 딱 준비해놓고 있는 상태입니다. 

 

HBM D램이란?

광대역폭 메모리라 불리는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이다. D램을 수직 적층 구조로 쌓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 크기도 줄일 수 있고 고용량으로 구현하기 수월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HBM 디램은 고성능 데이터센터, 머신러닝, 슈퍼 컴퓨터 등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초고화질 영화 163편 분량의 데이터를 1초 만에 처리하는 속도라고 합니다.  고성능이다 보니, 기존의 D램보다는 고가의 제품으로 수익성이 높아서 양사 모두 집중하고 있는 주력 제품입니다. 

 


가트너에 따르면 AI 칩 시장 규모가 2020년 220억 달러에서 2026년 86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외에도 수혜 종목이 없을지 투자자들을 눈이 뚫어져라 반도체 기업들을 물색 중입니다. AI 칩을 설계할 수 있는 IP 기업과 팹리스 및 AI 반도체의 특이한 배치를 실현하고 검사할 수 있는 반도체 후공정 업체들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도체 생태계

종합반도체기업(IDM :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웨이퍼 생산 설비인 팹 보유
설계, 웨이퍼 가공, 패키징, 테스트를 직접 수행
삼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IP기업 (Intellectual Property , 칩리스)  
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IP(지적 재산권)사용에 따르는 라이센스, 로열티가 주 수입원. ARM, 시놉시스(영국), 칩스앤미디어(국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국내)

 

팹리스 기업   
반도체 설계만 하는 기업. 파운드리 외주로 생산한 뒤 칩의 소유권이나 영업권을 가지고 있음. 
다품종 소량 생산 형태로 기술적 다양성을 갖는 시스템 반도체가 주로 팹리스
퀄컴,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에이디테크놀로지(국내),제주반도체, 어보브 반도체
디자인 하우스  
팹리스(설계)와 파운드리(생산)의 연결다리 역할 하는 기업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설계도면을 제조용 설계도면으로 다시 디자인하는 기업
가온칩스,에이직랜드,코아시아

 

파운드리  
팹리스 환영하는 생산전문가
생산 전문 파운드리의 주 고객은 바로 팹리스, 시스템 반도체 회사

TSMC, DB하이텍, 삼성전자
OSAT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후공정 업계 전문가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수탁 기업.
웨이퍼 낱개의 칩을 하나하나 잘라내어 기판이나 전자기기에 장착되기 위해 포장하는 작업 패키징을 하는 기업들.
패키징 후 신뢰성과 품질을 위해 검사함.
암코,하나마이크론, SFA 반도체, 엘비세미콘, 네패스, 유니테스트,테크윙, 엑시콘

 오늘 반도체 주식들 전반적으로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으나, 후공정(OSAT)관련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이 더욱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숫자로 찍히는 것입니다. AI  개발용으로 반도체 주문이 얼마나 들어왔는지가 관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