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비와 전기세가 올랐다는 뉴스를 듣고 막연히 올랐겠지 하고 생각했는데,
공과금 또는 관리비 영수증을 받고 깜짝 놀라신 분들이 대다수 일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관리비 영수증 보고 이건 "관리실의 실수"라고 생각했습니다.
오타가 아니고서야 이럴 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전화하려고 했는데, 다행히도 야밤이라 전화는 못했고
인터넷과 각종 커뮤니티에 관리비 또는 도시가스비폭탄 하소연글들이 줄을 잇고 있더군요..😭
따뜻하게라도 살았으면 억울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도시 가스는 어떻게 공급되는가?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는 오만, 인도네시아, 카타르에서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한국 가스 공사는 천연가스를 배에 실어서 국내 4곳의 LNG 인수기지인 평택, 인천, 통영, 삼척으로 들여옵니다.
들여온 천연가스는 위와 같이 벙커에 보관을 하고, LNG를 기체로 만들어 배관을 통해서 아래의 전국 도시 가스 회사에 보내게 됩니다.
2. 도시가스비용 구조
위의 내용과 같이 도시가스를 수입해오는 곳은 한국가스공사(KOGAS)이고,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일은 전국 도시가스 회사들이 하고 있습니다.
한국가스공사(=코가스)에서 원료비와 코가스에서 공급에 소요된 비용을 합하여 도매 요금을 산정합니다.
도매 요금은 주택용, 산업용, 열병합용 차등을 두고 있습니다.
도시 가스 비용은 누가 결정하는가?
도매비용은 아래의 가스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kogas.or.kr:9450/site/koGas/1040401010000
지역별 소매비용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www.citygas.or.kr/info/charge.jsp
한국도시가스협회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단위: 원/MJ, 부가세별도) *) 주택용 요금 부과기준 : 취사난방 겸용의 경우 516MJ까지는 취사요금, 516MJ 초과
www.citygas.or.kr
"가스 요금 인상"이라고 하면 도매가격 상승인지, 소매가격 상승인지 조금 자세히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소매가격은 시/도지사가 승인하여 결정되며,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추가 인상 또는 인하에 대해서는 시/도지사가 결정할 재량권이 있습니다.
과거 기사를 찾아보니, 도시가스 비용이 인하된 적이 있었습니다.
천연가스 가격이 폭락했으니, 도시가스 비용도 정정해 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핸드폰 출하량 9년만에 최악, 애플 실적 괜찮을까요? (8) | 2023.01.27 |
---|---|
아마존 RX Pass(처방약 정기 구독) 출시_이거 돈 될까요? (12) | 2023.01.25 |
눈 튀어 나오는 디즈니 임원의 고액 연봉 논란 (feat. 디즈니 CEO 밥 아이거 연봉과 디즈니 배당금) (10) | 2023.01.20 |
뉴진스 빌보드 핫백 최단기간 입성. 뉴진스와 하이브 주식에 대한 재평가 (12) | 2023.01.19 |
롯데 제과, 인도 하브모어사에 대규모 투자. 롯데 제과 매출 1등 제품과 국가별 아이스크림 소비량 (11)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