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비료관련주 모자이크 컴퍼니

잇베스터 2022. 10. 10. 19:23
반응형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도 비료주에 관해 글을 써봅니다.

오늘 이야기할 기업은 모자이크(Mosaic, 심벌 MOS)입니다.

비료 회사 이름이 왜 모자이크일까?

검색을 해봐도 못찾겠고, 곰곰이 생각을 해봐도 도저히 연관성을 못 찾겠더군요.

 

로고를 보니 왜 모자이크라고 했는지 연상이 되네요.

모자이크 비료를 써서 농사를 지으면 들판에 갖가지 농작물로 모자이크처럼 만들 수 있다란 뜻이 아닐까 유추해봅니다.

이렇게 저의 궁금증 하나 해결하고요, 본격적으로 모자이크란 기업에 대해서 알아가 볼게요!

 


모자이크 컴퍼니에 대하여

  1909년에 설립된 비료 회사인 IMC Global과 카길(세계 최대 곡물 회사 중 하나)의 작물 영양 사업부가 합병하여 2004년 10월에 설립되었습니다. 

  북미 및 국제적으로 농축 인산염 및 칼륨 작물 영양소를 생산 및 판매합니다.  멕시코와 브라질 등에 칼륨 광산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인산염 비료 중심의 종합 비료 회사입니다.


매출 구성

 모자이크 매출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브라질입니다. 제품(서비스) 부분에서 1등이 Mosaic Fertilizantes입니다. 이는 브라질의 Vale Fertilizantes를 인수한 사업 부분입니다. 브라질의 기존 사업 부분 매출도 여기에 다 포함됩니다.

  지역별 매출 비중으로 보아도 브라질이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에 이어 미국이 31.8%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의 대표 농작물은 대두, 사탕수수, 옥수수, 커피, 목화 등이며, 미국의 대표 농작물은 수수, 대두, 밀, 육지면(Upland cotton), 수수, 쌀, 보리, 귀리입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서 작황 상황이 해마다 악화되는 것 같아요. 브라질은 가뭄으로 올해 커피와 사탕수수 등 작황이 부진하다는 기사들이 보였었습니다. 작황 부진할수록 비료는 더욱더 필요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과 비료 매출

  미국의 CPI를 관찰해보면, 2021년 4월 처음으로 2%대를 처음으로 기록하게 됩니다. 5월에는 4.2%, 6월에는 5.0% 를 기록하게 됩니다. 모자이크의 매출이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 2021년 3월부터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비료 가격의 상관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물가가 계속 고공행진을 한다면 모자이크도 수혜를 계속 보게 될 것 같네요. 

 

 

Key Financials

  인플레이션이 시작된 후로 매출이 꾸준하게 늘어났음에도 earning miss가 계속 발생되었었네요. 월가의 예측이 과도했던 것인지 경영진이 실적 관리를 못한 것일까요? 

 

2021년 매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업 이익 또한 올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계정 분기 연간
21-Sep 21-Dec 22-Mar 22-Jun 2018 2019 2020 2021
당기순익 372 665 1,182 1,036 470 -1,067 666 1,631
매출 3,419 3,841 3,922 5,373 9,587 8,906 8,682 12,357
매출총이익 865 1,167 1,439 1,846 1,501 858 1,122 3,187
영업이익 767 1,043 1,307 1,738 1,190 504 750 2,756
                 
Free Cash Flow 83 68 216 1,323 455 -177 412 898
영업활동현금흐름 423 430 506 1,585 1,410 1,095 1,583 2,187
재무활동현금흐름 340 363 291 263 955 1,272 1,171 1,289
투자활동현금흐름 -351 -392 -297 -265 -1,945 -1,361 -1,190 -1,322
                 
EBITDA Margin 28.39 33.22 39.59 36.91 22.13 16.26 19.19 29.46
ROA 8.98 7.8 12.26 14.32 2.43 -5.42 3.41 7.8
ROE 18.93 16.16 24.98 29.47 4.7 -10.9 7.1 16.16
ROIC 12.99 11.72 18.44 21.99 3.2 -7.43 4.83 11.72
매출총이익률 25.29 30.37 36.69 34.36 15.66 9.63 12.92 25.79
순이익률 10.88 17.31 30.14 19.28 4.9 -11.98 7.67 13.2
                 
EPS 0.97 1.76 3.19 2.85 1.22 -2.78 1.75 4.27
P/E 7.62 9.18 9.41 5.38 24.01 - 13.17 9.19

 

현재 PER은 5.82배입니다.  CF Industries 8.41배, Nutrien 6.81배 정도이다.  모자이크는 경쟁사보다도 PER이 낮은 편이네요. 비료 사업 자체가 고 PER를 받을 수 있는 산업군은 아닌가 봅니다.

 

목표주가

  10월 10일 현재 목표주가는 $64.25이다. 현재 주가는 $51.06이다. 러-우 전쟁 발발 후 4월에는 최고 주가 $75.99 기록했었다.

 

배당

 현재 배당금은 $0.60이며, 배당 수익률은 1.18%입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지 않아서 아쉽네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식량이 안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글로벌화 세계는 하나라는 틀이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각국도 각자도생의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잡힐 듯하면서도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자면 비료회사들의 매출 상승은 당분간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10월 7일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2~3%의 하락을 보였음에도 모자이크는   -0.49% 하락했습니다. YTD 수익률이 29.96%입니다. 인플레이션 방어주로써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반응형